서기관 급수와 연봉 (서기관이란?)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서기관이란? “그거 뭔가 높아 보이는데... 진짜 높나요?”
공무원 조직에서 ‘서기관’이라는 호칭을 들으면 어딘가 중후하고, 살짝은 무게감 있는 느낌이 들지 않나요? “서기관님 오신다” 이런 말 들으면 뭔가 우산이라도 펴줘야 할 것 같은 기분.
그런데 막상 누가 “서기관이 정확히 뭐야?”라고 묻는다면, “음… 중간관리자쯤?” 이렇게 얼버무리게 되죠. 그래서 오늘은 그 궁금증,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서기관은 몇 급일까요? 정답은 바로...
서기관은 ‘4급’ 공무원입니다. ‘서’ 자가 들어가니까 ‘서기’(9급)랑 비슷한 느낌이 들 수도 있지만, 서기관은 중앙부처에서 과장을 맡는 중간 관리자급으로, 이제는 실무를 넘어서 정책 기획과 부서 리딩을 맡는 핵심 계급이라 할 수 있어요.
공무원 계급 체계 속 서기관의 위치
| 직급 | 계급 | 주요 역할 |
|---|---|---|
| 서기관 | 4급 | 과장, 국장 보좌, 정책 기획 |
| 사무관 | 5급 | 팀장, 실무 총괄, 보고서 작성 |
| 주무관 | 6~9급 | 현장 실행, 민원 응대, 기본 행정업무 |
| 부이사관 | 3급 | 국장, 실장급 |
즉, 서기관은 실무형 팀장을 넘어 조직 내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하위 직급을 조율하는 실질적 관리자입니다. 사무관이 일하면, 서기관은 책임을 지는 자리죠.
서기관의 대우, 연봉, 연금은 어느 정도일까?
자, 이제 궁금한 이야기로 들어가 봅시다. 서기관 월급은 얼마? 공무원 급여표 기준 4급 1호봉은 약 500만 원 전후입니다. 여기에 정근수당, 직급보조비, 가족수당, 명절수당 등이 더해지면 월 실수령액은 550만 원~600만 원 사이로 보는 게 현실적입니다.
서기관 연봉 계산 예시
| 항목 | 금액(연) |
|---|---|
| 기본급(4급 기준) | 약 6,200만 원 |
| 수당 평균 | 약 1,200만 원 |
| 총 예상 연봉 | 약 7,400만 원 |
물론 호봉이 높아지고, 근속 연수가 쌓이면 8,000만 원 이상도 충분히 가능하며, 퇴직 후에는 공직 연금 수령도 시작됩니다. 공직연금은 고정급여 60~70% 보장형이기 때문에 민간 기업에 비해 안정성은 확실히 높죠.
서기관까지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쉽게 말해, 5급 공채 또는 경력직 사무관 → 근속과 승진 → 4급 서기관입니다. 단, 그 과정은 절대 쉽지 않습니다.
행정직 진급 구조 예시
- 9급 → 7~8년 → 7급
- 7급 → 6~8년 → 6급
- 6급 → 5~6년 → 5급 사무관 (승진 or 공채)
- 5급 사무관 → 6~10년 → 4급 서기관
여기서 5급 공채로 입직하면 바로 사무관에서 시작하니 가장 빠르면 입직 후 15~18년 차에 서기관 승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치열한 내부 경쟁, 실적 평가, 인사관리 시스템 등으로 인해 승진 못 하고 퇴직하는 사례도 많습니다.
서기관은 어디서 일하나요?
서기관은 주로 중앙부처 과장, 광역자치단체 국/과장급으로 활동합니다. 해외 주재원으로도 파견되며, 국회, 감사원, 인사혁신처 등 전문성과 고위 관료 역량이 필요한 부처에서 활약합니다.
서기관 근무 부처 예시
- 기획재정부 세제과장
- 행정안전부 인사과장
-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과장
- 국세청 조사국 과장
-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정책과장
이들은 단순한 공문 처리자가 아니라 정부 정책을 실제로 설계하고 실행하는 사람들입니다. “정책은 장관이 발표하지만, 초안은 서기관이 만든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죠.
서기관, 정말 가치 있는 직책인가요?
단언컨대, 네. 서기관은 공직사회에서 인정받는 안정성과 명예를 동시에 지닌 위치입니다. 승진 경쟁은 치열하지만, 행정관리, 예산통제, 정책 조율 등 전략적 역할을 수행하며 공직 생애 후반부의 터닝포인트가 되기도 합니다.
서기관이 되면 생기는 변화
- 조직 내 입지 강화 – 직급 영향력 증가
- 의사결정에 참여 – 보고서 결재자가 됨
- 퇴직 후 재취업 기회 증가 – 공기업, 산하기관, 연구소 등
또한 공직 경력 관리 측면에서도 ‘서기관’은 고위직(3급 이상) 진입의 관문이며, 지방자치단체장 보좌관, 감사원 감사관, 국책연구원 등 다양한 행정 전문가 수요처로도 연결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 서기관은 정년이 어떻게 되나요?
A. 일반직 공무원의 정년은 만 60세입니다. 일부 고위직은 예외적으로 연장 근무 가능성이 있습니다.
Q. 서기관은 장차관급인가요?
A. 아닙니다. 장차관급은 고위공무원단이며, 서기관은 중간 관리자급(4급)입니다.
Q. 서기관은 주말 근무가 많은가요?
A.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부처마다 주말 보고서 작성이나 회의 준비로 근무하는 사례도 많습니다.
Q. 서기관으로 퇴직하면 연금은 얼마나 나오나요?
A. 평균적으로 월 180만 원~220만 원 수준이며, 재직 기간과 호봉, 수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 서기관급은 언제쯤 연봉 1억을 찍을 수 있나요?
A. 수당 포함 실수령 기준으로는 4급 후반~3급 초반에서 가능하며, 고위공무원단 진입 시 현실화됩니다.
더 좋은 글 추천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