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32개국명단 (UNCTAD 선진국 순위)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가장 널리 회자되는 “선진국 32개국”은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의 리스트 B(선진 회원국) 구성을 말합니다. 2021년 7월 2일 한국이 이 그룹에 편입되며 현재 32개국 체제가 됐어요.
• 다만 ‘선진국 순위’는 공식 단일 기준이 없습니다. IMF(선진경제군), HDI(인간개발지수), MSCI/FTSE(선진시장) 등 기관·지표별로 분류 철학과 표본이 달라요.
• 아래엔 32개국 완전 명단과, 순위를 볼 때 헷갈리지 않도록 지표별 읽는 법을 정리했습니다.
UNCTAD ‘선진 회원국’ 32개국(알파벳순)
# | 국가명 | 비고 |
---|---|---|
1 | 그리스 | EU |
2 | 네덜란드 | EU |
3 | 덴마크 | EU·북유럽 |
4 | 독일 | EU·G7 |
5 | 룩셈부르크 | EU |
6 | 리히텐슈타인 | 유럽 소국 |
7 | 몰타 | EU |
8 | 모나코 | 유럽 소국 |
9 | 미국 | G7 |
10 | 바티칸 시국 | 유럽 소국 |
11 | 벨기에 | EU |
12 | 스웨덴 | EU·북유럽 |
13 | 스위스 | 유럽 |
14 | 스페인 | EU |
15 | 산마리노 | 유럽 소국 |
16 | 아이슬란드 | 북유럽 |
17 | 아일랜드 | EU |
18 | 안도라 | 유럽 소국 |
19 | 영국 | G7 |
20 | 오스트리아 | EU |
21 | 오스트레일리아 | 오세아니아 |
22 | 이탈리아 | EU·G7 |
23 | 이스라엘 | 중동 |
24 | 일본 | G7 |
25 | 캐나다 | G7 |
26 | 키프로스 | EU |
27 | 포르투갈 | EU |
28 | 프랑스 | EU·G7 |
29 | 핀란드 | EU·북유럽 |
30 | 한국 | OECD |
31 | 뉴질랜드 | 오세아니아 |
32 | 노르웨이 | 북유럽 |
근거: UNCTAD ‘리스트 B(선진 회원국)’ 표기. 한국은 2021년 7월 2일 편입.
왜 ‘순위’가 제각각일까? — 기준 3종 비교
기관/지표 | 무엇을 보나 | 특징 | 비고 |
---|---|---|---|
UNCTAD 리스트B | 무역·정책협의 그룹 구분 | 관행상 ‘선진국 32개국’으로 자주 인용 | 공식 ‘순위’는 없음 |
IMF ‘선진경제군’ | 소득수준·다변화·통합도 등 종합 | 표본은 30여~40여 개로 ‘32’와 다름 | 분류 페이지 참고 |
UNDP HDI | 수명·교육·소득(인간개발) | 연도별 순위표가 공개됨 | 2023/24 보고서 최신 |
블로거 팁: ‘선진국 순위’ 검색에서 서로 다른 표가 나오는 건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저는 기사·보고서를 저장할 때 출처(UNCTAD/IMF/HDI)를 파일명에 붙여 둡니다. 나중에 헷갈릴 일이 확 줄어요.
지표로 본 상위권 경향(요약)
- • HDI(인간개발): 북유럽(노르웨이·아이슬란드·덴마크 등)과 서유럽(스위스·네덜란드), 오세아니아(호주·뉴질랜드)가 상위권에 꾸준히 포진. 최신 연도별 순위는 UNDP 리스트에서 직접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 • IMF 1인당 GDP: 룩셈부르크·스위스·노르웨이 같은 소규모 고소득국, 미국·덴마크·네덜란드 등이 상단에 주로 등장합니다(연도·환율에 따라 변동). 지표 원문은 IMF WEO 데이터맵에서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Q&A)
Q. ‘선진국 32개국’이 공식 순위인가요?
A. 순위가 아니라 UNCTAD의 선진 회원국 그룹 명단(리스트 B)을 일컫는 표현입니다.
Q. 한국은 언제부터 선진 회원국인가요?
A. 2021년 7월 2일부로 UNCTAD 리스트 B에 편입됐습니다.
Q. IMF나 HDI 순위랑 왜 다르게 보이나요?
A. IMF는 ‘선진경제’라는 경제학적 분류(표본 수·기준이 다름), HDI는 인간개발지수(복지·교육 포함)라서 관점이 달라서입니다.
Q. 올해 최신 순위표는 어디서 보나요?
A. HDI는 UNDP 페이지, 1인당 GDP·성장률 등은 IMF WEO 데이터맵에서 연도별로 보실 수 있어요.
Q. 투자·유학·이민 등 목적별로 ‘선진국’ 기준이 달라지나요?
A. 네. 금융시장에선 MSCI/FTSE의 ‘선진시장’ 분류가, 공공정책·원조에선 DAC/HDI가 더 실용적일 때가 많습니다.
목록 자체보다 분류 의도를 먼저 확인하면 뉴스 읽기가 편합니다. 예컨대 경제기사의 ‘선진국’은 대체로 IMF·시장분류(선진시장)를, 사회지표 기사는 HDI를 쓰는 식이에요.
좋은 글 참고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